파리 백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리 백작은 파리 지역을 다스린 백작 작위로, 메로빙거 왕조 시대부터 여러 왕조와 가문을 거쳐 계승되었다.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는 그리포, 제라르 1세 등이 파리 백작을 역임했으며, 이후 로베르 가문, 부샤르 가문, 오를레앙 가문 등이 이 작위를 사용했다. 특히 오를레앙 가문은 19세기부터 프랑스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며 파리 백작 칭호를 사용해 왔으며, 현재까지도 그 후손들이 이 작위를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리 백작 - 위그 카페
위그 카페는 987년부터 996년까지 프랑크 왕국의 왕으로 재위하며 카페 왕조의 시조가 되었고, 왕위 계승을 위해 아들 로베르 2세를 공동 왕으로 임명하여 카페 왕조 세습의 기반을 다졌다. - 파리 백작 - 앙리 도를레앙 (1933년)
앙리 도를레앙은 프랑스 왕위 요구자이자 오를레앙 가문의 수장으로, 작가와 화가로도 활동하며 왕립 동맹을 지지했다. - 군주 목록 - 잉글랜드 국왕
잉글랜드 국왕은 잉글랜드 왕국을 통치했던 군주를 의미하며, 웨섹스 왕조의 에그버트 이후 잉글랜드 전역에 군주권이 행사되었고, 1707년 연합법으로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 대체되었다. - 군주 목록 - 바르셀로나 백작
바르셀로나 백작은 카탈루냐 지역을 다스린 역사적 작위로, 프랑크 왕국에서 시작하여 세습 작위로 독립적인 발전을 이루었고 아라곤과의 결혼을 통해 아라곤 연합왕국 형성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스페인 국왕이 계승하는 작위이다.
| 파리 백작 |
|---|
2. 메로빙거 왕조 시대
카롤랭지엥 가문 출신 그리포는 751년부터 753년까지 파리 백작을 역임했다.
2. 1. 귀데스키 가문
- 보딜론
- 678년까지: 성 와리누스 (620–678)
3. 카롤링거 왕조 시대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는 피핀 가문, 지라르 가문, 벨프 가문 등 여러 가문이 파리 백작직을 맡았다.[1]
3. 1. 피핀 가문
3. 2. 지라르 가문
3. 3. 벨프 가문
- 오세르 백작 콩라드 1세 (858년 - 859년): 아르겐가우 백작이자 린츠 백작이기도 함
4. 로베르 가문
5. 부샤르 가문
- 987년~1005년: 존경받는 부샤르 1세 (1005년 사망), 방돔 백작, 코르베유, 멜룅
- 1005년~1017년: 방돔의 르노 (991년~1017년), 파리 주교이자 방돔 백작
부샤르 1세와 르노는 파리 주교를 겸임하였다.
6. 오를레앙 가문
프랑스의 왕 루이 필립은 1838년 8월 24일 손자 필리프 도를레앙에게 파리백작직을 수여했다.[3] 이후 필리프 도를레앙의 후손들은 왕정 몰락 이후에도 파리백작직함을 사용하고 있다.
| 이름 | 즉위년도 | 가문 | 비고 |
|---|---|---|---|
| 필리프 도를레앙 | - | 오를레앙가 | 페르디낭 필리프 도를레앙 (1842년 사망)의 아들, 루이 필리프 1세의 손자.[3] |
| 앙리 도를레앙 | - | 오를레앙가 | 명목상의 작위. 필리프 도를레앙의 동생 샤르트르 공작 로베르의 아들 기즈 공작 장 도를레앙 (1940년 사망)의 아들이자, 필리프 도를레앙의 외손자. |
| 앙리 도를레앙 | - | 오를레앙가 | 명목상의 작위. 프랑스 공작위 역시 보유. 앙리 도를레앙의 아들. |
프랑스 왕당파 중 레지티미스트(정통주의자)들은 7월 왕정 이후에도 프랑스 부르봉 왕가를 정통 왕가로 여겼지만, 1883년 샹보르 백작 앙리 다르투아의 사망으로 그 계승자가 끊어졌다. 그 때, 레지티미스트의 다수는 중도 우파의 오를레앙주의자(오를레앙파)에 합류하여 파리 백작 필리프를 지지했지만, 일부는 스페인 부르봉 왕가의 몬티손 백작 후안을 옹립했다. 이에 대해 오를레앙주의자들은 스페인 부르봉 왕가의 시조인 스페인 왕펠리페 5세가 프랑스 왕위 계승권을 포기한 것을 중시하여 파리 백작 필리프야말로 정당한 프랑스 왕위 계승자라고 주장했다.
레지티미스트들은 앙주 공작 루이 알폰소 ("루이 20세")에게 왕위 계승권이 있다고 주장하지만, 오를레앙가 당주가 파리 백작 칭호를 사용하는 것은 인정하고 있다.
6. 1. 7월 왕정
1838년, 7월 왕정 시기, 국왕 루이 필리프 1세는 갓 태어난 손자 필리프에게 파리 백작 칭호를 수여했다.[1] 루이 필리프가 1848년 프랑스 혁명으로 퇴위한 후, 오를레앙주의자 왕당파들은 필리프와 그의 후손들을 왕위의 정당한 계승자로 여겼다. 1870년, 프랑스 제3공화국이 시작되면서, 필리프와 오를레앙주의자들은 정통왕위 계승자인 앙리를 지지하기로 동의했지만, 앙리가 1883년 사망한 후 필리프의 왕위 계승 주장을 다시 제기했다.오를레앙 왕조의 국왕 루이 필리프 1세는 파리 시와 선조인 카페 왕가에 대한 존경을 담아 적손 필립에게 파리 백작 칭호를 부여했다.
6. 2. 법적 창설 없이 사용된 파리 백작
1929년, 오를레앙가의 왕위 요구자인 기즈 공작 장(1874-1940)은 자신의 장남이자 외아들인 앙리 드 오를레앙(1908–1999)에게 '파리 백작' 칭호를 부여했다. 앙리는 사망할 때까지 이 명예 칭호를 유지했고, 이 칭호로 가장 잘 알려졌다. 그 이후로 이 칭호는 프랑스 왕위 오를레앙주의 요구자로서 그의 후계자들이 사용해 왔다.[2]| 파리 백작 (법적 창설 없이 사용) |
|---|
| 앙리, 파리 백작(1908–1999) (1929–1999) |
| 앙리, 파리 백작(1933–2019) (1999–2019) |
| 장, 파리 백작 (1965년 출생) (2019–현재)[2] |
다음 계승자는 장의 장남인 가스통 루이 앙투안 마리 도를레앙(2009년 출생)이다.
19세기 이후, 오를레앙가 당주가 4대에 걸쳐 파리 백작을 칭하며 프랑스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고 있다.
| 오를레앙가 당주 |
|---|
| 필리프 (7세) (1838년 - 1894년) |
| 앙리 (6세) (1908년 - 1999년) |
| 앙리 (7세) (1933년 - 2019년) 프랑스 공작이라고도 칭함 |
| 장 (4세) (1965년 - ) 프랑스 공작이라고도 칭함 |
참조
[1]
서적
Le comte de Paris
https://archive.org/[...]
W. H. Allen & Co.
[2]
뉴스
Le prince Jean d'Orléans est officiellement le nouveau comte de Paris
https://www.parismat[...]
2019-02-04
[3]
서적
Mémoires de M. Dupin
Pl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